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s)는 어린 시절부터 서서히 발전하여 성인기에 개인의 성격으로 굳어진 심리적 특성이 부적응적 양상을 나타내는 경우를 말한다. 성격장애로 진단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기준을 충족시켜야한다.
< 성격장애 진단 기준 ★★★>
1. 개인의 지속적인 내적 경험과 행동양식이 그가 속한 사회의 문화적 기대에서 심하게 벗어나야한다.
이러한 양식은 다음의 4개 영역 중 2개 이상의 영역에서 나타나야한다.
(1) 인지(예시: 자신, 타인, 사건을 지각하고 해석하는 방식) (2) 정동=강도(예시: 정서 반응의 범위, 강도, 불안정성, 적절성) (3) 대인관계 기능 (4) 충동 조절 |
2. 고정된 행동 양식이 융통성이 없고 개인생활과 사회생활 전반에 넓게 퍼져 있어야 한다.
3. 고정된 행동양식이 사회적, 직업적, 그리고 다른 중요한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기능의 장애를 초래해야 한다.
4. 양식이 변하지 않고 오랜 기간 지속되어 왔으며, 발병 시기는 적어도 청소년기나 성인기 초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어야 한다.
< 성격장애의 하위유형과 핵심증상 >
DSM-5에서는 성격장애를 10 가지 하위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3 가지 군집으로 분류하고 있다.
– A군 성격장애(Cluster A Personality Disorders): 사회적으로 고립, 기이한 성격특성
– B군 성격정애(Cluster B Personality Disorders): 정서적, 극적인 성격특성
– C군 성격장애(Cluster C Personality Disorders): 불안, 두려움 많이 느끼는 특성
하위장애 | 핵심증상 | |
A군 성격장애 (사회적 고립, 기이함) ▼ A군 하위장애 세부 정보 ▼ https://curumworld.com/psychology/330/ | 편집성 성격장애 | 타인에 대한 강한 불신과 의심 적대적인 태도 보복 행동 |
분열성성격장애 | 관계형성에 대한 무관심 감정표현의 부족 대인관계의 고립 | |
분열형 성격장애 | 대인관계 기피 인지적·지각적 왜곡 기이한 행동 | |
B군 성격장애 (정서적, 극적임) ▼ B군 하위장애 세부 정보 ▼ https://curumworld.com/psychology/348/ | 반사회성 성격장애 | 법과 윤리 무시 타인의 권리 침해 폭력 및 사기 행동 |
연극성 성격장애 | 타인의 관심을 끌려는 행동 과도한 극적인 감정표현 | |
경계성 성격장애 | 불안정한 대인관계 격렬한 애증의 감정 충동적 행동 | |
자기애성 성격장애 | 웅대한 자기상 찬사에 대한 욕구 공감능력의 결여 | |
C군 성격장애 (불안, 두려움) ▼ C군 하위장애 세부 정보 ▼ https://curumworld.com/psychology/383/ | 강박성 성격장애 | 완벽주의 질서정연함 절약에 대한 과도한 집착 |
의존성 성격장애 | 과도한 의존 욕구 자기주장의 결여 굴종적인 행동 | |
회피성 성격장애 | 부정적 평가에 대한 예민성 부적절감 대인관계의 회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