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단상담의 형태는 구조화와 비구조화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비구조화 집단상담은 감수성 훈련집단, T-집단, 참만남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다.
비구조화 집단상담의 유형 | ||
① 감수성 훈련집단 | – 인간관계 훈련집단 – 정서적 경험에 초점 – 참가자의 이해, 타인과의 관계회복, 공동체 형성 – 집단의 역동과 조직에 대한 이해 · 개선 – 실험실과 같은 기능(학습방법을 학습하기 위함) | |
② T-집단(T-Group) | – Training Group의 약자 – ‘사회적 훈련’, ‘대인관계 훈련’ – 최초로 시행한 곳은 미국 NTL(National Training Laboratory)에서 집단상담 형식을 시도하여 강력한 치유 경험을 제공하면서 알려짐 – 실험실적 접근 – 훈련집단(소집단) – 집단원 모두 집단과정에 참여하여 자신의 목표를 정함 – 집단원 서로에게 피드백을 주고받음 – 집단활동을 계획, 관찰, 분석, 평가함 – 직접적 경험 – 인간관계 형성 기술과 집단과정에 대해 주로 배움 | |
③ 참만남집단(Encounter Group) | – 체험집단 – 개인 경험에 중점 – 집단원들에게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사항을 가르침 – 설정한 목표를 성취하도록 도움 – 집단원들이 상호 친밀감을 느끼고 경험과 느낌을 교환하도록 격려함 – 개방적 – 정직한 관계 형성을 통한 태도, 가치관, 생활양식 변화(개인의 변화) – 몇 시간에서 며칠간 진행되기도 함 – 감수성 훈련 방법이 많이 사용됨 – ① 스톨러 모형 ② 슈츠 모형 ③ 로저스 모형 ① 스톨러 모형(Stoller) – 마라톤 참만남집단 – 참가자의 피로를 통해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드러냄 ② 슈츠 모형(Schutz) – 개방적 참만남 집단 – 행함(Doing), 경험(Experiencing)강조 – 언어적인 방법, 심리극, 도형, 신체 운동 연습, 명상 – 신체적 느낌, 신체적 에너지 이완(정서적 문제 해방) ③ 로저스 모형(Rogers) – 인간중심상담 – 계획 x, 기법 중요 x – 상담자의 역할: 안내자, 촉진자 – 주요 기술: 일치성과 진실성, 공감적 이해와 경청,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 존중 – 궁극적 목표: 현실 자아(Real Self)찾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