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신 중기에 들어서면 임당검사(임신 24주~28주 시행되는 당부하검사)로 걱정이 많을 때이다. 임신성 당뇨란 뭘까?
<목차>
1. 임신성당뇨병이란?
2. 임신성당뇨병의 위험요인
3. 임신성당뇨병 검사 방법
4. 임신성당뇨병 관리
5. 임신성당뇨병이 미치는 영향
01
임신성당뇨병이란?
Gestational diabetes
원래 당뇨병이 없던 사람이 임신 20주 이후에 당뇨병이 발견되는 경우를 말한다. 임신 중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여 혈당을 올린다.
02
임신성당뇨병의 위험요인

ⓒ국가건강정보포털
✅ 35세 이상 산모
✅ 소변검사에서 당이 검출된 경우
✅ 산모가 4kg 이상의 거대아 분만력이 있는 경우
✅ 선천성 기형아 출산력이 있는 경우
✅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 원인 불명의 사산, 조산, 유산의 경험이 있는 경우
✅ 산모의 과체중 혹은 비만
✅ 임신성 당뇨병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03
임신성당뇨병 검사 방법

ⓒ구글이미지검색
- 50g 당부하 검사
임신성 당뇨병의 선별검사로 130mg/dL 이상 또는 140mg/dL 이상을 기준으로 한다.
- 100g 당부하 검사(재검사)
50g 당부하검사에서 이상 소견 있는 경우 시행한다.
공복 < 95mg/dL 1시간 < 180mg/dL 2시간 < 155mg/dL 3시간 < 140 mg/dL |
4가지 수치 중 2개 이상 초과 시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내린다.
04
임신성당뇨병 관리
✅ 자가혈당측정
- 공복 95
- 식후 1시간 < 140mg/dL
- 식후 2시간 < 120 mg/dL
✅ 식이조절 및 운동
✅ 인슐린 및 약물치료
05
임신성당뇨병이 미치는 영향
- 태아의 체중 증가
- 호흡곤란 증후군
- 조산
- 임신 중 고혈압
- 임신중독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