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

1위 나무늘보(20~22시간)

나무늘보는 하루 24시간 중에 약 2시간 깨어있고

20 ~ 22시간 잠을 자는 동물임

그 이유로는 은신처가 있고

포식자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하기 때문에 긴 잠을 잘 수 있기 때문임


2위 코알라(18~20시간)

코알라는 하루 약 20시간 잠을 잠

알코올 성분이 들어 있는 유칼립투스 나뭇잎 먹어서

해롱거린다는 것은 오해임

단순히 코알라는 잠을 자는 것임

독성 있는 유칼립투스 이파리가

영양소가 적고 섬유질이 많아서

소화하는 데 많은 에너지가 필요함

따라서 잠을 자는 이유는 소화하는 데 필요한 힘을 아끼기 위함임


3위 판다(10~16시간)

판다는 하루 약 16시간

자는 시간을 제외하면 늘 음식을 먹고 있음


4위 사자(13.5시간)

사자는 약 13.5시간 잠을 잠.

길게 잘 수 있는 이유는 아마도

사자를 이길 포식자가 없어서 그런가 봄


5위 고양이(13.2시간)

고양이는 약 13.2시간 잠을 잠

고양이는 밤에 사냥하고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이기 때문에 낮에 대부분 잠을 잔다고 알려져 있음

그래서 해가 지면 움직이기 시작하고

새벽까지 활동하는게 가장 기본적인 생활패턴임

특히 집에서 생활하는 반려묘의 경우,

사냥할 일이 없어서 활동량이 더 적음


6위 쥐(12.5시간)

쥐는 하루 12.5시간 잠


7위 닭(11.7시간)

은 하루 약 12시간

닭을 포함한 많은 조류는

인간에게 없는 인간에게 없는

수면단계인 단일반구서파수면(USWS, unihemispheric slow-wave sleep)을 경험하는데

이 단계에서 닭의 뇌는 한쪽 반구만

잠들게 되어있음

이는 수면 도중 천적을 경계하기 위함


8위 오리(10.6시간)

오리의 수면시간은 약 10.6시간임


9위 개 & 재규어

개와 재규어는 하루 10시간 잠


10위 붉은여우(9.8시간)

붉은 여우는 하루 약 9.8시간 잠을 잠

여우는 야행성이기 때문에 낮에는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하고 밤에 활동을 함


11위 침팬지(9.7시간)

침팬지는 하루 9.7시간 잠을 잠

깨어있는 시간에는

쉬거나 털고르기를 하거나

먹으면서 시간 보냄


12위 토끼(8.8시간)

토끼는 하루 약 8.8시간 잠

그리고 반야행성 동물

낮에는 잠을 자고

해가 떨어지는 저녁부터

활동을 시작하는 활동패턴이 있음


13위 염소

염소는 주위를 항상 경계하면서 생활하기 때문에

하루에 약 7.8시간

조금만 기척 느껴져도 쉽게 잠을 깸


14위 소(4시간)

는 하루 약 4시간 잠을 잠

소들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3단계의 수면 패턴을 보임

조는 단계(Drowinf) -> 비급속 안구 운동 수면(NREM) -> 깊은 잠에 드는 급속 안구 운동 수면(REM)

소는 잠자는 시간 4시간 제외하면

하루 8시간을 존다고 함


15위 기린(3~4시간)

기린은 하루 약 3~4시간 정도 잠을 자는데,

얕은 잠이 대부분이고 서서 자기도 함

기린은 하루에 15시간 이상을 먹는 데

소모하며 물이 없어도 2~3주는 견딜 수 있음


16위 양(3.8시간)

양은 하루에 약 3.8시간 잠


17위 코끼리 (3.3~3.8시간)

코끼리는 하루에 약 3.3 ~ 3.8시간

TMI.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아프리카에 남아있는 코끼리가

현재 41만5천 마리로 줄어든 것으로 집계하고 있음

줄어든 이유로는 코끼리 상아를 노린

마구잡이 사냥과

인간의 서식지 침범이었음

코끼리는 인간이 잠식한 지역과

밀렵을 피해 다니느라

실제 서식지는 5분의 1 미만으로 위축돼 있고

개체 수도 급감함


18위 사슴(30~40분)

사슴은 하루에 졸듯이 30~40분 정도 잠을 자는데

이것도 한번에 자는게 아니라

10분 이내로 나눠서 토막잠을 잠

자면서 귓바퀴를 움직여

누가 자기 쪽으로 다가오는 소리가 나는지 살핌

이상한 낌새를 느끼면 앞뒤 안 보고 자리를 박차고 도망감

초식동물은 육식동물과 달리

물어뜯을 이빨이나 발톱 같은 무기가 없어

도망가는 것이 최고의 좋은 방법임

늘 도망갈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하니 깊은 잠을 잘 수 없음


짱구는 못말려 ‘짱구’ 짤

이렇게 잠이 없는 동물과 잠꾸러기 동물에 대해 알아봤음

한편, 사람은 몇 시간 자는게 적절할까?

대한수면학회에 따르면, 적절한 수면 시간이 하루 6~8시간이라고 함


내용 출처

뉴스1(2016.02.10), 하루 22시간 잠자는 최고의 잠꾸러기 동물은 누구?, https://www.news1.kr/life-culture/pet/2567463

나우뉴스(2017.01.01.), “꼬끼오~”…우리가 몰랐던 닭의 생물학적 특징 5가지,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101601008

대한수면학회 > 건강한 수면 > 적정 수면시간, https://www.sleepmed.or.kr/content/info/sleeptime.html

매일경제(2016.02.03.), “코알라 22시간, 기린 2시간 잔다” … 왜?, https://www.mk.co.kr/news/world/7209861

연합뉴스(2021.04.02), “코끼리야 미안해”…인간 탓 서식지 6분의 1로 활동영역 위축, https://www.yna.co.kr/view/AKR20210402113700009

애니멀피플(2018.08.28.), 개 10시간, 고양이 13시간…가장 많이 자는 동물은?, https://www.hani.co.kr/arti/animalpeople/human_animal/859561.html

에듀진(2019.11.14), [생물] 대나무만 먹는 편식쟁이 ‘판다’가 사실은 육식동물?, https://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958

중앙일보(2020.01.15.), 무려 18마리…최다 출산 기록한 기린 ‘장순이’의 나이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682725#home


/ 다른 동물 보러가기 /

답글 남기기

글쓴이

wnv5dwae501e@sg2plzcpnl509221.prod.sin2.secureserver.net

관련 게시물

위치:

토끼가 아니라고? 😲 졸린 표정을 짓는 이 동물은 ‘비스카차(Viscacha)’

졸립고 귀찮은 표정을 짓는 비스카차(Viscacha) ▼ 영상으로 만나보기 ▼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회의강 목 설치목 과 친칠라과 속 산비스카차속 종...

모두 읽어보기
위치:

[설치류] 다람쥐와 청설모의 차이점

등산하다보면 만날 수 있는 다람쥐와 청설모! 비슷하게 생겼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그전에 잠깐 청설모에 대해 알아보자! 청설모는 외래종이다? 🤔 아니다. 청설모가...

모두 읽어보기
위치:

우리가 몰랐던 닭의 능력 5가지

이건 나도 몰랐닭! ▲ 영상으로 만나보기 ▲ 기억력이 안 좋고 어리석은 사람을 놀릴 때 말하는 ‘닭대가리’는 어쩌면 닭을 향한 잘못된 인식일 수도...

모두 읽어보기
위치:

[포유류] 해달과 수달의 차이점이 뭘까~?

오늘 밥 먹다보니 해달과 수달에 대해 이야기 나옴 그런데 듣다보니 그 두 동물의 차이가 뭔지 몰라서 찾아봄 우선 수달과 해달의 공통점은 족제비과...

모두 읽어보기
위치:

[포유류] 박쥐의 충격적인 친척 ‘OO’!!!

약 10여 년 전, 서로 관계가 없는 다른 종(種)들에서 유사한 특징이 진화하는 ‘수렴진화(평행진화)’가 생리적 차원뿐 아니라 유전적 차원에서도 광범위하게 일어난다는 사실이 한...

모두 읽어보기
위치:

[파충류] 반려 도마뱀 종류 7가지에 대해 알아보자.

일반적으로 개와 고양이를 제외한 반려동물은 ‘특수 반려동물‘이라고 부른다. 즉, 반려 도마뱀은 특수 반려동물에 해당된다. 도마뱀은 강아지나 고양이처럼 주인을 따르지는 않지만 주인을 알아보고 교감은 가능하다. 온순한 성격과...

모두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