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족치료 모델비교 ]
시기 | 모델 | 주제 | 대표인물 | 주요개념 | 치료목표 | 개입방법 |
초기 | 다세대 | 다세대에 걸친 정서과정에서 집중적인 투사의 대상이 된 가족원에게 증상이 나타남. 가족원의 자기분화를 촉진하여 가족체계의 변화를 유도하여 문제를 해결함. | Bowen, Kerr, Boszormenyi-Nagy | 자기분화, 삼각관계, 핵가족, 정서체게, 가족투사과정, 정서적 단절, 다세대 전수과정, 형제위치, 사회정서과정 | 다세대 정서과정을 이해함으로써 자기 분화의 촉진과 탈삼각화 촉진함. | 가계도를 통한 가족정서체계 평가, 불안과 정서적 반응성을 낮춤, 치료적 삼각관계와 코칭을 통한 가족원의 자기분화 촉진. |
경험적 | 미해결된 주제가 문제가 되어 현제의 기능을 방해하므로 이것을 지금-여기에서 경험하고 작업하여 일치적으로 만듦. | Satir, Whitaker, Kempler, Keith, Banmen | 자아존중감, 가족규칙, 의사소통 및 대처유형, 사회와의 연계썽, 자기 선택과 결정, 경험의 공유 | 자아존중감 증진, 선택능력 향상, 책임감 소유, 일치적인 존재가 되는 것. | 개인의 빙산 탐색, 가족규칙, 가족조각, 유머, 원가족 도표, 의사소통, 나의 영향권 이해, 은유, 명상 등을 이용. | |
구조적 | 증상이나 문제는 가족의 역기능적 상호작용 구조에서 비롯됨. 따라서 가족의 재구조화를 통한 문제해결에 초점을 둠. | Minuchin, Montalvo, Aponte, Fishman | 가족구조, 경계선, 하위체계, 위계구조, 연합, 우회, 동맹, 가족적응, 재구조화, 합류 | 경계선 및 하위체계 기능 변화를 통한 역기능적 가족구조의 재구조화함. | 합류와 적응, 구조적 지도를 통한 가족평가, 가족재구조화 기법 활용. | |
전략적 | 헤일리, MRI, 밀란 모델을 전략 모델로 구분하며, 문제해결을 위한 치료자의 치료전략 고안과 지도적 위치를 중시함. | Jackson, Weakland, Haley, Madanes, Selvini-Parazzoli, Cecchin | 의사소통, 가족규칙, 권력과 통제, 치료적 이중구속, 가설설정-순환성-중립성 | 증상을 지속시키는 역기능적 연쇄과정에 전략적으로 개입하여 단기간에 제시된 문제를 해결함. | 구체적인 문제 정의와 가설설정, 가족의 연쇄과정 파악, 역설적 개입(고된 체험 기법, 위장기법)을 통한 전략적 개입. | |
후기 | 해결중심 | 내담자는 자기 문제의 전문가며 문제해결 능력을 갖고 있다고 믿으며, 그의 장점, 자원, 성공적 경험을 활용하여 목표를 달성하도록 도움. | de Shazer, Berg, Lipchik, O’Hanlon, Weiner-Davis | 긍정적인 것에 관심, 강점과 자원 활용, 탈이론적, 현재와 미래에 초점, 변화의 불가피성, 단순하고 실현 가능한 해결방법을 먼저 사용, 알지 못함의 자세, 내담자에 대한 존중과 수용 |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고 문제가 없는 예외 상황을 찾아 문제를 협동적으로해결함. | 치료자-내담자 관계유형 파악, 해결 지향적 질문(상담 전 변화, 예외질문, 기적질문, 척도질문, 대처질문, 관계성질문, 악몽질문, 간접적인 칭찬 등)을 사용하여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함. |
이야기 | 내담자 자신이나 주변인이 문제로가득 찬 이야기를 내담자의 정체성과 동일시할 때 문제발생. 당사자의 삶의 지식와 목적이 담긴 대안적 이야기의 구축에 초점을 둠. | White, Epston,Freedman, Combs, Zimmerman, Monk | 지배적 이야기, 색다른 결과, 빈약한-풍부한 서술, 대안적 이야기, 의도상태, 행동의 전망, 정체성의 전망, 재저술 | 문제이야기 해체, 부수적 이야기와 대안적 이야기의 풍부한 발달, 대안적 정체성의 구성과 사회적 공유. | 외재화 대화, 독특한결과대화, 재저작 대화, 회원재구성 대화, 정의예식, 거푸집짓기(스케폴딩), 치료적문서 활용 |
참고문헌
정문자, 정혜정, 이선혜, 전영주(2019). 가족치료의 이해 3판.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