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정 공포증 (Specific Phobia)
1) 주요증상과 임상적 특징
– 공포증(Phobia): 어떤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강렬한 공포와 회피행동
– 범불안장애 보다 훨씬 심한 강도의 불안과 두려움을 경험함
–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한정된 공포와 회피행동을 나타냄
– 특정 공포증: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비합리적 두려움과 회피행동을 지속적으로 나타냄 (6개월 이상)
DSM-5에서의 특정공포증 네 가지 하위 유형 | |
① 동물형 (animal type) | – 뱀, 개, 비둘기, 거미, 바퀴벌레 등과 같은 동물이나 곤충을 두려워하는 경우 |
② 자연환경형 (natural environment type) | – 천둥, 번개, 높은 장소, 물이 있는 강이나 바다 등과 같은 자연에 대한 공포 |
③ 혈액-주사-상처형 (blood-injection-injury type) | – 피를 보거나 주사를 맞거나 상처를 입는 등 신체적 상해나 고통의 두려움 |
④ 상황형 (situational type) | – 비행기, 엘리베이터, 폐쇄된 공간 등과 같은 상황을 두려워하고 피하는 경우 |
– 임상적 장면에서 찾아오는 성인들이 호소하는 공포증은
– 상황형 > 자연환경형 > 혈액-주사-상처형 > 동물형 순서로 흔함
– 한 가지 이상의 유형을 지니는 경우도 많음
2) 원인과 치료
(1) 원인
– 공포반응이 고전적 조건형성에 의해 학습될 수 있음을 보여줌 (ex. 왓슨과 레이노 – 어린 앨버트 실험)
– 조건형성뿐만 아니라 대리학습과 정보전이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음 (Rachman, 1977)
(2) 치료
– 긴장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약한 공포자극 부터 시작하여 점차 강한 공포자극에 노출 시키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