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장장애(수집광)
1) 임상적 특징
– 언젠가 필요할지 모른다는 생각으로 버려야 할 물건을 집안에 산더미처럼 쌓아두는 장애
– 쌓아놓은 물건들은 생활공간을 심각하게 제한하고 안전이나 건강의 문제를 야기하게 됨
2) 진단기준
DSM-5 저장장애(수집광) 진단기준 |
A. 실제 가치와 상관 없이 소지품을 버리거나 소지품과 분리되는 것을 어려워함 B. 물건 버리는 것을 고통으로 여김 C. 불필요한 물건을 버리지 못하며, 물건을 보관하고자 하는 강한 충동을 느낌 D. 이러한 증상은(자신과 타인을 위한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함 E.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님(예: 뇌손상, 뇌혈관 질환, 프래더-윌리 증후군) F.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음(예: 강박장애, 주요우울장애, 조현병, 다른 정신병적 장애, 주요신경인지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과도한 습득 동반 소지품을 버리는 데 어려움이 있으면서 동시에 필요가 없거나 가능한 공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과도하게 소지품을 습득하는 행위 동반 좋거나 양호한 방식 수집광과 관계된 믿음과 행동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함(버리기 어려움, 과도하게 습득하거나 채우기) 병식 없음/망상적 믿음 수집광과 관계된 믿음과 행동들이 반론의 증거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없다고 완전히 확신함 |
[ 문제행동 ]
① 강박적 저장 : 불필요한 물건을 버리지 못하고 보관
② 강박적 수집 : 불필요한 물건을 집안으로 끌어들임
* 대표적인 물건: 옷, 신문
3) 원인과 치료
(1) 원인
정신역동적 | – 수집행동은 항문기적 성격의 3대 특성: 인색함을 반영 – 항문기 고착 → 항문기적 성격 → 반항적 공격성 → 저장장애 – 전이대상: 부모를 대신하여 과도하게 집착하는 애착대상 (ex. 인형, 담요) |
인지행동적 ★ (인지기능의 결함) | – 우유부단함 – 범주화/조직화 결함 – 기억의 결함 (기억의 단서 제공 → 보관의 중요성) – 손실의 과장된 평가 ( “언젠간 사용하겠지~”, 미적으로 보기 좋은 물건 손실 막기 ) |
(2) 치료
ⓛ 인지행동치료 (소유물을 가치와 유용성에 따라 정리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② 약물치료 (삼환계 항우울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와 같은 항우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