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기애성 성격장애
자기애성 성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란 자신에 대한 과장된 평가로 인한 특권 의식을 지니고 다른사람에게 착취적이거나 오만한 행동을 나타내어 사회적인 부적응을 초래하는 것이 특징이다.
1. 주요증상과 임상적 특징
- 자기중심적, 과대평가, 자기과장, 특권의식, 인정에 대한 욕구, 취약한 자존감
- ex) 왕자병, 공주병
- 자신만의 방식을 고집하고 명성과 부를 얻는 것에 대한 야망이 강함(성공, 권력)
- 왜곡된 자아상으로 비현실적으로 자신이 대단한 사람인 듯과대평가함
- 타인을 무시함
- 자기중심적인 행동으로 인해 대인관계 갈등과 부적응을 초래하게 됨
- 자신의 목표를 위해 타인을 이용함
- 외현적 자기애(Narcissime Ouvert)와 내현적 자기애(Narcissisme Couvert)로 구분함
- 보통 사춘기에 흔히 나타나지만, 무조건 자기애성 성격장애로 진행되는 것은 아님
- 자존감이 취약해서 우울증에 빠지기 쉬움
- 흑백논리적, 과잉일반화
- 발병시기: 성인기 초기
- 유병률: 일반 인구 1%미만 (임상 환자 집단 2~16%)
- 성별: 50~70% 남자
- 감별진단: 경계성, 연극성, 반사회성, 편집성 성격장애
이러한 성격으로 인해 나이가 들어 육체적 · 직업적 한계에 직면하게 될 때 어려움을 겪음.
2. 진단기준
DSM-5 연극성(히스테리성)성격장애 진단기준 | ||
공상이나 행동에서의 웅대성, 칭찬에 대한 욕구, 공감의 결여가 생활전반에 나타나며 다음의 특성 중 5가지 이상 해당해야 한다.① 자신의 중요성에 대하여 과대한 느낌을 가진다(성취와 능력에 대해서 과장하고, 적절한 성취 없이 특별한 대우를 받기를 기대한다). ② 무한한 성공, 권력, 명석함, 아름다움, 이상적인 사랑과 같은 공상에 몰두한다. ③ 자신은 특별하고 특이해서 다른 특별한 높은 지위의 사람(또는 기관)만이 그것을 이해할 수 있고 또는 관련해야 한다는 믿음이 있다. ④ 과도한 숭배를 요구한다. ⑤ 특권의식(특별한 자격)이 있는 것 같은 느낌을 가진다. ⑥ 대인관계에서 착취적이며,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타인을 이용한다. ⑦ 타인의 느낌, 요구를 인식하거나 확인하려 하지 않고, 감정이입이 결여되어 있다. ⑧ 타인을 자주 부러워하거나 타인이 자기를 질투하고 있다는 믿음을 가진다.⑨ 오만하고 건방진 행동이나 태도를 보인다. |
3. 원인
1) 유전적 요인
- 출생할 때 기질적으로 ‘까다롭고 예민하게 반응하는 성격특성’이 ‘자기만을 돌봐야 하고 자기만을 볼보려는’자애성 성격형성의 취약성 요인으로 작용함
2) 생물학적 요인
- 공감능력, 동정심, 정서조절,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좌측 전전두엽 회백질의 용적이 부족한 대뇌의 구조적 비정상성 때문임
3) 심리적 요인
- 취약한 자존감을 감추기 위함
- 자기 중요성(자기에 대한 과장된 믿음), 자신에게 몰입, 무한한 성공에 대한 욕구를 세상에 투사하기 위해 노력하는데 이는 취약한 자존감과 열등감(수치심)을 모면하고 ‘자기 가치감’을 올리기 위한 결과임
- 취약한 자존감과 열등감은 부모의 훈육방식에서 기인함
- 부모의 냉담함(냉정함)은 아동에게 불안정한 자의식을 심어주게 되고, 냉담한 부모 역시 자존감이 낮기 때문에 이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아동을 치켜세워서’ 대리만족을 얻고 이 과정 속에서 자녀는 자신의 부족한 점에 대해 마음속 깊이 열등감과 수치심을 느끼게됨
- 부모의 과잉보호나 특이한 성장과정으로 인해 좌절경험을 하지 못하면 유아기적 자기애가 지속되어 자기애성 성격장애로 발전될 수도 있음(Kohut, 1968).
4) 인지적 요인
- “나는 매우 특별한 사람이다.”
- “나는 너무나 우월하기 때문에 특별한 대우를 받고 특권을 누릴 자격이 있다.”
- “인정, 칭찬, 존경을 받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 “내가 당연히 받아야 할 존경이나 특권을 받지 못하는 것은 참을 수 없는 일이다.”
- “사람들은 나를 비판할 자격이 없다.”
- “나 정도의 훌륭한 사람만이 나를 이해할 수 있다.”
가족으로부터 특별한 대우를 받고 성장한 사람들에게 흔하고, 그 결과 이러한 생각에 일치하는 정보에는 선택적 주의를 기울이는 반면, 반대되는 부정적 정보는 무시하고 왜곡하면서 분노하고 착취적인 행동을 나타냄.
4. 치료
가장 일반적인 치료방법은 개인 심리치료임.
전이현상을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고(정신분석적 치료에서), 치료자가 내담자의 욕구를 충분히 공감하고 이해해주는 것이 중요함(Kohut, 1968).
1) 정신역동치료
- 어린 시절 받은 수치스럽고 부서지기 쉬운 자존감의 상처를 회복시켜줌
- 좌절된 욕구, 강한 시기심, 모욕감, 깊은 열등감이 건전한 자아로 통합될 수 있게함
- 환자와 치료자 간의 치료적 동맹을 이루기 위해서는 환자가 존경할 수 있는 치료자로 선정하는 것이 좋음
2) 인지행동치료
- 부적응적인 신념체계와 행동방식을 찾아내고 수정하기
- 웅대한 자기상, 평가에 대한 과도한 예민성, 공감의 결여에 대한 치료적 개입
- 역할 바꾸기, 역할 연기 등을 통해 공감능력 증진
3) 약물치료
- 자기애성 성격장애에 동반되는 기분장애나 신체증상장애 등 다른 정신과적 증상들이 있을 경우 이를 완화시키는 약물들이 사용될 수 있음
- 리튬(lithium) = 감정변동 심한 경우
- 항우울제(serotonergic drugs) = 우울증
1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