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발달심리학

인간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수정(conception)의 순간부터 인간은 그의 전 생애를 통해 계속 변화의 과정을 시작한다.

발달심리학은 이렇게 일생에 걸쳐 시간과 관련되어 일어나는 모든 변화(change)와 안정(stability)에 초점을 둔다.

즉, 인간의 일생을 통해 일어나는 변화와 안정의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 발달심리학의 이론

– 17세기 이전까지 유럽에서 ‘아동기’라는 개념이 없었음

– 성인발달과 노년을 포함한 전 생애의 변화에 관한 관심과 조사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이르러서야 나타남(Elder, 1974)

– 다양한 관점에서 발달의 현상에 접근함

– 각각의 관점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이론을 포함하는데, Freud나 Piaget의 이론이 주된 목적이고, Skinner식 접근과 행동수정이론의 일차적 목적이 행동의 예측과 통제라면,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ecological) 접근의 목적은 발달의 현상의 기술임

■ 발달의 개념 및 특징

전 생애 발달(lifespan development)의 개념 ★★★

– 전 생에(태아, 신생아, 성인, 노인 포함)에 걸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어나는 모든 체계적인 변화와 안정의 과정

– 키 크고, 체중 늘고 지식의 양이 많아지고 적응 능력이 커지는 등의 성장의 변화, 인지 쇠퇴, 노화도 포함됨

– 발달의 방향이 일방적이지 않음(양방향적임)

– 인간의 생각, 감정, 행동의 일생을 통한 변화와 안정을 탐구함

– 발달심리학은 여러 분야의 연구들이 관련된 학제 간 학문

(발달심리학을 기준으로 생물학, 의학, 역사학, 가정학, 사회학, 교육학, 인류학의 연구결과로 이루어짐)

– 발달은 신체발달, 인지발달, 심리사회적 발달이 서로 관련있고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음 (세 영역)

신체발달: 키, 몸무게와 같은 신체기관과 운동기능을 포함한 몸과 뇌의 변화

– 발달은 머리쪽에서 발끝쪽으로 진행되는 두미방향(cephalocaudal)과 신체의 중심부에서 말초쪽으로 진행되는 근원방향(proximodistal)으로 이루어짐

인지발달: 언어, 사고, 기억력, 창의력과 같은 지적 능력의 변화

심리사회적 발달: 성격, 정서, 사회적 관계의 변화

– 발달은 생물학적 성숙의 개인차가 있음


2.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발달에 개인차가 있음 (특성, 영향, 혹은 발달적 결과의 차이들)

유전(heredity), 성숙(meturation), 환경(environment)

성숙: 유전적으로 결정된 발달의 생물학적 시간표에 따라 일어나는 단계(ex. 사춘기)

문화(culture), 민족(ethnicity), 인종(race)

민족: 정체성과 신념, 가치 등을 공유할 수 있는 그들만의 구별되는 문화와 조상, 종교와 언어, 국가의 기원으로 하나가 된 사람들의 집단, 문화적 배경, 국적, 종교, 언어에 해당되는 넓은 개념

– 인종의 개념은 불확실해지고 있음

규범적 영향과 비규범적 영향(normative and nonnormative influences)

규범적 영향: 한 집단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비슷한 방식으로 일어나는 사건의 영향

비규범적 영향: 특정한 사람에게만 일어나는 예외적인 사건 혹은 예외적인 시기에 일어나는 일상적인 사건의 영향

– 규범적 동시대집단 영향은 동시집단효과가 있음

동시집단: 같은 시기에 태어난 사람들의 집단

동시대 세대: 같은 역사적 사건을 경험한 사람들의 집단


3. 발달과 관련된 문제

연속적 변화 대 불연속적 변화(continuous change vs discontinous change)

연속적 변화: 이전 경험 위에 새로운 경험이 덧붙여지는 점진적인 양적 변화

불연속적 변화: 이전 단계의 행동과는 질적으로 다른 행동의 단계로 구별되는 질적 변화

– 대부분의 발달학자들은 발달이 연속적 혹은 불연속적이라는 양자택일의 입장은 적절하지 못하다고 생각함

– 관점에 따라 발달은 양적 변화일 수도 있고 질적변화일 수도 있다고 설명함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

결정적 시기: 어떤 사건의 출현 혹은 결여가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특정한 시기

각인(imprinting): 발달 초기의 결정적 시기 동안에 새끼 동물이 처음 보이는 움직이는 물체에 애착을 형성하는 학습의 본능적 형태

민감한 시기(sensitive periods): 특정한 종류의 경험에 특별히 민감한 발달의 시점

– 천성과 양육의 상대적 영향(nature and nurture)

– 천성은 부모로 부터 물려받은 선천적인 기질, 능력, 역량을 말함 (ex. 쌍꺼풀, 대머리, 시력이 근시인지 등 영향을 줌)

– 부모의 훈육이나 사춘기 또래의 압력과 같은 사회적 영향이 있음

– 사회경제적(socioeconomic) 조건처럼 더 큰 사회적 수준의 영향도 있음

그림: p.30

참고문헌

신명희 외(2017). 발달심리학 2판. 학지사.

답글 남기기

글쓴이

wnv5dwae501e@sg2plzcpnl509221.prod.sin2.secureserver.net

관련 게시물

자녀가 독립하고 부모에게 흔히 찾아오는, ‘빈둥지증후군’

인간의 보편적인 삶의 과정을 강조하는 생애주기(life-cycle)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을 살펴보면 학자마다 인간의 발달 시기와 대상에 대한 견해를 달리하고 있으나, 대부분 학자들은 중년기(middle...

모두 읽어보기

언어장애(Language Disorder)의 특징, 진단기준, 원인과 치료

의사소통장애(Communication Disorder)는 정상적인 지능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의사소통에 사용되는 말(speech)이나 언어(language)의 사용에 결함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의사소통 장애에는 네 가지 하위유형 ① 언어장애 ②...

모두 읽어보기

카페인-관련 장애의 하위장애, 핵심 증상, 원인과 치료

카페인(caffeine)은 많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흔히 섭취하고 있는 물질이다. 그 정도가 지나치면 카페인-관련 장애가 생기게 된다. 내가 알고있는 카페인은 홍차, 초콜릿과 커피뿐이었는데..이번 공부를...

모두 읽어보기

우울장애의 하위장애, 핵심 증상, 원인과 치료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s)란 무엇인가?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s)는 슬픔, 공허감, 짜증스러운 기분과 그에 수반되는 신체적·인지적 증상으로 인해 개인의 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부적응 증상을 의미한다. 우울장애는...

모두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