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rickson의 심리사회 이론(psychosocial therapy) –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심리사회적 위기 | 연령 | 주요 사회적 관계 | 주요 특징 | 바람직한 결과 |
신뢰 대 불신 | 0~1세 | 어머니(양육자) | 양육자의 일관되고 적절한 돌봄과 사랑은 기본적인 신뢰감을 형성함. 거부적이고 부적절한 돌봄은 불신 야기함. | 신뢰, 희망 |
자율성 대 수치 및 의심 | 2세 | 부모 | 자기능력으로 기능을 발휘하도록 허용, 격려할 때 자율성이 발달함. 과잉보호나 도움의 결핍은 환경을 통제하는 능력에 의심을 갖게 하여 수치심이 형성됨. | 의지 |
주도성 대 죄의식 | 3~5세 | 가족 | 탐색할 수 있는 자유를 허용하고 질문에 충실히 답해 줄 때 주도성이 발달함. 활동을 제한하고 간섭하고 질문을 귀찮게 여기면 죄의식이 형성됨. | 목적, 의도 |
근면성 대 열등감 | 6~11세 | 이웃, 학교 | 성취할 기회를 부여하고, 성취한 것을 인정, 격려하면 근면성이 발달함. 성취할 기회를 갖지 못하거나 결과에 비난을 받고 귀찮은 존재로 취급되면 열등감이 형성됨. | 기술, 유능감 |
정체감 대 역할 혼미 | 청소년기 | 또래집단, 리더십 모델 | 자신의 존재, 가치에 대한 인식이 정체감을 발달시킴. 신체적 불안감, 성역할과 직업선택의 불안정은 역할혼미를 초래함. | 성실, 충성 |
친밀성 대 고립 | 성인전기 | 친구, 연인, 회사동료 | 타인과 친밀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능력을 발달시킴. 친밀한 관계 형성에 실패하면 고립감을 느낌. | 사랑 |
생산성 대 침체 | 성인중기 | 노동의 분화와 가사의 분담 | 다음 세대의 지도과정에 참여하고 생산적 활동을 통해 타인과 사회를 위해 노력할 때 생산성이 발달함. 이러한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면 침체감에 빠짐. | 배려 |
통합성 대 절망 | 노년기 | 인류 | 자신의 인생이 만족스러웠다고 회상하고, 자신을 수용하고, 인생에 대한 관조를 할 수 있을 때 통합성이 형성됨. 인생을 후회하고 죽음을 두려워할 때 절망감에 빠짐. | 지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