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질 및 성격검사(TCI)
기질 및 성격검사(Temperament Character Inventory: TCI)는 미국의 정신과 의사인 클로닝거(C.R.Cloninger)의 심리생물학적 인성모델에 기초하여 개발된 검사이다. TCI검사는 한 개인의 기질과 성격을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TCI검사의 목적은 기질과 성격을 종합적으로 평가를 통해 한 사람의 사고방식, 감정양식, 행동패턴, 대인관계 양상, 선호 경향 등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클로닝거는 기질과 성격을 구분하였다.
· 기질(temperament): 타고나는 것, 영아기에 형성됨
· 성격, 특성(character): 후천적 경험 + 환경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것, 평생에 걸쳐 성숙
4개의 기질 차원과 3개의 특성 차원
민병배, 오현숙, 이주영(2007).
척도명 | 내용 | |
기질차원(4) | ||
자극 추구(NS) Novelty Seeking | – 새롭거나 신기한 자극, 잠재적인 보상 단서 등에 강하게 반응하는 유전적 경향성 – 흥분, 보상 추구하는 활동 많이함 – 단조로움과 처벌을 적극적으로 회피하려함 | |
위험 회피(HA) Harm Avoidance | – 위험하거나 혐오스러운 자극에 강하게 반응하는 유전적 경향성 – 처벌,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행동을 억제하는 경향 있음 | |
사회적 민감성(RD) Reward Dependence | – 사회적인 보상 신호에 대해 강하게 반응하는 유전적 경향성 – 이전에 보상을 받았던 행동 또는 처벌이 감소되었던 행동이 유지됨 | |
인내력(P) Persistence | – 보상이 없을 때, 간헐적으로만 있을 때 한번 보상된 행동을 꾸준히 지속하는 경향성 | |
특성 차원(3) | ||
자율성(SD) Self-Directedness | – 자신이 선택한 목표와 가치를 이룰 수 있도록 상황을 만들어가는 능력 – 스스로의 행동에 대한 통제력, 조절력, 적응력과 관련됨 | |
연대감(C) Cooperativeness | – 자기 자신을 사회의 통합적인 한 부분으로 지각할 수 있는 정도 – 타인을 수용하고 공감하는 데 개인차를 보여줌 | |
자기 초월(ST) Self-Transcendence | – 자기 자신을 우주의 통합적인 한 부분으로 지각할 수 있는 정도 |
참고문헌
유가현, 권석만, 김경일, 김신우, 남종호 외 10명 공저(2021). 심리학의 이해 (5판).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