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생애는 무의식의 자기실현의 역사다.
칼 융(Carl G. Jung, 1875 ~ 1961)

정신세계 무의식의식을 탐구하고 실험분석심리학자의 창시자이다. 융과 프로이트의 주요 견해 또한 차이가 있으며, 이는 다음 표와 같다.

[ 융과 프로이트의 주요 견해 차이점 ]

구분프로이트
리비도의 역할성을 포함한 다른 삶의 에너지를
포함한 정신 에너지로 봄
인간의 생물학적
성에 제한된 에너지로 봄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힘의 방향과거의 사건들뿐만 아니라
미래에 무엇을 하기를 열망하는가에
의해 성격이 결졍됨
주로 과거의 사건이나
과정들에 의해 성격이 결정됨
무의식의 개념 정립– 인류의 정신문화 발달 초점
– 집단무의식이란 개념을 도입하여
의식의 범위를 확장함
– 인간 정신의 자각 수준에 초점
– 무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함

융의 생애와 업적 (Carl G. Jung, 1875 ~ 1961)

– 1875년 7월 26일 스위스 동북부에 위치한 보덴 호수 근처 케스빌에서 태어남

– 아버지는 복음주의 개혁 목사였음

– 어머니는 지배적인 성격이고 아버지는 실패자라는 것에 대해 생각하면서 종교적 신앙의 진실을 회의하며 많은 시간을 보냄

– 융은 자신이 외로온 아이였다고 기술하였으며 그 이유로는 문제 있는 양친 사이에서 자라났기 때문이라고 함

– 융의 유년시절과 청년시절의 가장 큰 즐거움: ① 자연탐구, ② 희곡, ③ 시, ④ 역사, ⑤ 철학 등 선택한 책 읽기

– 처음에 사랑한 것: 고고학 -> 이후 꿈을 통해 의사가 되겠다는 확신을 얻음

– 1900년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1900)』을 읽고 정신분석학에 관심생김

– 1902년 바젤 대학교: 「이른바 신비적 현상들의 심리학과 병리학에 대하여(Zur Psychologie und Pathologie sogenannter occulter Phἅnomene)」논문을 쓰고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

– 1903년 엠마 라우셴바흐(Emma Rauschenbach)와 결혼하여 다섯 자녀(아들 1명, 딸 4명)을 둠

– 1905년 바젤대학교에서 정신병리학을 강연함

– 1906년 프로이트와 서신 왕래를 시작 후, 1907년 프로이트를 만나 13시간 동안 대화를 나눔(서로 크게 존경함)

– 1909년 미국으로 같이 강연 여행을 떠남(프로이트는 융을 아들처럼 대하며 자신의 후계자로 지명함, 국제정신분석학회의 회원들에게 융을 초대회장으로 뽑아 주도록 설득한 후 1911년 회장이 됨)

– 1912년 융은 자신의 독자적인 견해를 펼칠 것으로 결심하고​ 1913년 두 사람(프로이트와 융)은 결별하게 됨

– 융은 자신의 이론을 분석심리학이라 칭하고, ‘복합심리학(complex psychology)’이라고 함

– 프로이트와 헤어진 후, 융은 발판을 잃고 정신병 수준(환상, 악마, 유령, 묘한 현상들과 대화 나눔 등)까지 온 것을 깨달음

– 이후 자신의 내적 의문의 목표를 발견하기 시작하였고 이는 융 자신이 기하학적 도형들, 즉 원과 사각형으로 구성된 상징들을 그리고 있음을 알게 되었을 때였다. 이 상징들을 나중에‘만다라(mandala)’라고 부름

– 융은 자신의 균열을 새로운 개인적 통합에 이르는 데 필요한 내적 여행이라고 이해함

– 융은 생애 마지막을 개인치료, 여행, 독서, 공부를 하며 보냄 → 계속적인 자기분석 및 자기반성과 결합함 → 엄청난 양의 저서를 출간하고 강연을 수 없이 함

– 1961년 6월 6일 스위스의 퀴스나흐트의 자택에서 사망함

* 융이 다른 동료들과 함께 집필한 마지막 저서: 『인간과 그의 상징(Man and His Symbols)』(1964)

*복합심리학:‘복잡한 정신적 맥락(psychic context)’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됨


< 목차 >

■ 융의 생애와 업적

1. 인간관

2. 주요 개념

1) 정신구조

2) 원형

3) 동시성

4) 확충

5) 개성화

3. 상담 목표와 과정

4. 상담의 기법


1. 인간관(무의식★★★)

– 인간을 긴 역사의 산물로 생물학적·문화적·정신적 유전을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존재이다.

– 인간의 성격은 아동기의 경험과 원형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 인간은 자유의지자발성이 있다.

– 아동기의 경험이 인간의 성격에 영향을 미치지만 성격 형성을 좌우하지 않는다.

– 인간은 중년기의 경험 및 미래에 대한 희망과 기대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 인간은 중년기에 개성화 혹은 자기화 수준이 달성되게 되면 ‘보편적 성격(universal personality)’을 발달시킨다.

인간은 항상 지금 이 순간보다 더 좋아지고 나아지려는 희망을 갖고 있는 존재로 보았다(Schultz & Schultz, 2013).


2. 주요 개념

1) 정신구조

출처: Crain(2000).

– 분석심리학에서 인격 전체를 ​‘정신(psyche)’​이라고 부른다.

– 정신: 의식·무의식적인 모든 사고, 감정, 행동을 포함한다(인간은 본래부터 하나의 전체임)

– 무의식의 두 가지 수준으로 개인무의식(personal unconsious)집단무의식(collective inconscious)이 있다.

정신의 가장 중요한 부분 집단무의식이다.

(1) 자아(ego)

– 자아는 의식적인 마음이며 언제 어느 때나 우리가 알 수 있는 지각, 기억, 사고 및 감정으로 되어 있다.

자아의 기능: 해롭거나 위협적인 자극들과 무의미하고 부적절하고 보잘것 없는 자극을 걸러낸다.

– 따라서 자아는 ‘의식에 이르는 문지기’로서 의식을 지배하고 있다.

– 자아가 갖는 정신 에너지의 방향은 외향성(extraversion)의 태도와 내향성(introversion)의 태도에 의해 결정된다.

모든 외향적인 사람들 혹은 모든 내향적 사람들이 똑같지 않다.

– 즉, 그들이 셰계에 대한 태도가 합리적이냐 혹은 비합리적이냐 하는 점에서 다르다는 점을 발견 하였다.

외향성의식을 외적세계 및 타인에 향하게 하는 성격태도
내향성의식을 자신의 내적 · 주관적세계로 향하게 하는 성격태도
합리적 기능비합리적 기능
① 사고하기(thinking), ② 느끼기(feeling)① 감지하기(sensing) , ②통찰하기(intuiting)
▶ 사고-감정 차원*경험에 대해 판단, 평가, 조직하고 분류함▶ 감각-직관 차원*이들은 이성을 사용하지 않음

– 성격유형 검사에 많이 사용되는 MBTI는 융의 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2) 개인무의식(personal unconscious)

– 개인무의식이란 의식 속에 더 이상 남아 있지 않지만 쉽게 의식부로 떠오를 수 있는 자료의 창고 혹은 저장소이다.

– 또한 개인무의식은 살아가면서 축적되어 있는 억압된 기억 · 환상 · 소망 · 외상 · 욕구의 저장소로서, 성격의 착한 면과 악한 면을 모두 갖고 있는 음영(shadow)이 존재한다.

– 의식부와 개인무의식 사이에 서로 빈번한 왕래가 있다(필요할 때 즉시 의식부 안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상기해냄).

콤플렉스(complex): 하나의 공통된 주제에 관한 정서와 사고의 무리(clusters)다. ★★★

– 콤플렉스는 우리의 주변 모든 것을 어떻게 지각하고 어떤 가치와 흥미 그리고 동기를 가질 것이냐 하는 것을 결정한다.

(3) 집단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 = 보편적 성격, 종족기억(racial memory)

– 콤플렉스가 어린 시절의 외상 사건에서 생긴다고 처음에는 믿었으나 이후에는 훨씬 더 깊은 경험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융은 깨달았다.

– 콤플렉스가 종(種)의 진화사(進化史)에서 유전기제를 통해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느꼈다.

– 즉, 인류의 보편적인 종교적 · 심령적 · 신화적 상징들과 경험들이 저장되어 있다.

– 집단무의식은 직접적으로 의식되지 않지만 인류의 역사적 산물인 신화, 민속, 예술 등이 지니고 있는 영원한 주제의 현시를 통해 간접적으로 관찰된다.

2) 원형(archetypes)

– 보편적인 경험들이 인간 내부에 있는 심상으로 나타나거나 표현되는 것이 원형이다.

– 원형이란 인간의 꿈, 환상, 신화 및 예술에서 반복해서 나타나는 우리 조상들의 경험(집단무의식에 포함)을 대표하는 원시적인 이미지 혹은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 원형은 인간이 갖는 보현적 · 집단적 · 선험적인 심상들로 융의 분석심리학의 성격구조에서 중요하다.

– 원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페르소나(persona)

(1) 페르소나(persona) = 사회 속 가면

– 페르소나: 본래 배우가 극중에서 다른 얼굴이나 특정한 역할을 관객들에게 표현하기 위해 쓰던 가면을 일컫는 말이다.

– 페르소나는 상황이나 사람에 따라서 순간의 요구에 맞추어 어떤 행동이나 태도를 취하는 것이다.

– 건강한 정신의 목표:페르소나를 수축시키고 정신의 다른 측면을 발달시키는 것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

(2)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

남성 속의 여성적 원형은 아니마

여성 속의 남성적 원형은 아니무스

음영(shadow, 그림자)

(3) 음영(shadow, 그림자)

– 인간의 어둡고 사악한 측면을 나타내는 원형이다.

– 대부분의 경우 음영은 긍정적인 자아상과 반대되기 때문에 대체로 부정적인편이다.

(4) 자기(self)

– 정신의 모든 측면의 통일성, 통합성 및 전체성을 향해 노력하는 것으로 자기발달을 인생의 궁극적 목표라고 본다.

– 자기는 항상 목표를 미래에 두고 사람을 앞으로 끌어당기기 때문에 동기를 유발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

– 융은 중년기를 인간의 발달단계에서 결정적 시기로 보았으며 그 이유로는 정신적 건강을 성취하기 위함이라고 하였다.

3) 동시성(synchronicity)

– 융이 사건을 초자연적인 성질로 보기 위해 사용한 주요한 개념이다(비인과적 관계들의 원리로 설명함).

– 어떤 의미 있는 사건들 중에는 인과성의 결과에 의한 것도 아니며 또 인간의 의도에 의한 결과도 아닌 경우가 있다고 본다.

– 우리는 집단무의식을 통해 다른 사람들 및 자연과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본다.

4) 확충(amplification)

– 확충이란 인류의 거의 모든 시대에 걸친 종교사, 문화사, 정신사의 영역에서 나온 동류(同類)의 혹은 유사한 그림 모티프들을 통해 꿈과 같은 체험을 확장시키고 심화시키는 것이다(Wehr, 1969).

– 확충의 목적: 꿈, 공상, 환각, 그림 등 인간에게서 생긴 모든 상징적인 의미와 원형의 근원을 이해하는 데 있다(Hall & Nordby, 1973).

5) 개성화(individuation) ★★★

– 개성화는 개별 존재가 되는 것이다.

– 개성화를 자기화(selfhood) 혹은 자기실현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융은 개성화된 인간을 건강한 인격의 소유자로 보았으며, 그러한 인간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Schultz, 1977).

① 자각의식과 무의식 수준에서 모두 자기 자신을 잘 이해함
② 자기 수용자신의 본성(장점과 단점, 성스러운 면과 사악한 면)을 수용함
③ 자기 통합성격의 모든 측면들이 통합되고 조화를 이루어 모든 것이 표출됨(이성적 특성, 이전에는 지배적이지 못했던 태도와 기능, 무의식의 총체)
④ 자기 표현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나타내어 솔직한 생각과 기분을 표출함
⑤ 인간 본성의 수용과 관용모든 인류 경험의 저장소인 집단무의식에 대해 굉장히 개방적이며, 인간 상황을 보다 잘 인식하고 관대함을 가짐
⑥ 미지와 신비의 수용초자연적이며 영혼적인 현상에 관심을 갖고 수용함
⑦ 보편적 성격성격의 어느 한 측면으로 태도나 기능 혹은 원형에 지배 받지 않음(물 흐르듯이 ~ 살아가는 것)

3. 상담의 목표와 과정

1) 상담목표

* 인류와의 합일(자기 자신과의 합일)이 중요함

– 상담 및 치료의 목표:내담자 혹은 환자로 하여금 무의식적으로 작동하는 정신 원리를 의식화하고 개성화 혹은 자기실현 과정을 촉진하는 것이다.

2) 상담과정

■ 4단계: 고백 → 명료화 → 교육 → 변형

1. 고백 단계(confession)– 치료 동맹 형성- 내담자 자신의 개인사를 고백하고 정화를 경험함으로써 의식적 및 무의식적 비밀을 치료자와 공유함- 치료자는 무비판적이고 공감적인 태도를 유지함
2. 명료화 단계(elucidation)– 내담자의 정서적 또는 지적으로 자신의 문제에 대한 통찰을 얻게 함- 내담자가 갖는 증상의 의미, 아니마와 아니무스, 음영, 현재 생활 상황과 고통 등을 명료화- 융에 따르면, 전이는 심리치료의 급소임
3. 교육 단계(education)– 내담자가 사회적 존재로서 부적응적 또는 불균형적 삶을 초래한 발달과정의 문제에 초점- 내담자의 페르소나와 자아에 초점이 맞춰짐
4. 변형 단계(transformation)– 자기실현 기간임- 개성화를 지향하는 과정에 맞춰짐

4. 상담의 기법

– 융의 상담 기법은 과학적(객관적)이면서도 초자연적(신비적)인 접근을 모두 포함한다.

– 융은 환자들의 다양한 문화와 시대를 탐구하여 그 문화와 시대의 상징, 신화, 종교, 관습, 환상, 꿈, 연금술(alchemy)과 투시(clairvoyance)및 점성술(astrology)에 관한 탐색을 통해 독특한 심리치료이론을 형성하였다.

– 기본적으로 융은 단어연상검사, 증상분석, 꿈분석의 세 가지 기법을 사용하였다.

상담기법
① 단어연상검사(word-association test)실험 대상 인물에게 일련의 단어들을 읽어 주고 각 단어에 대해 그때그때 연상되는 것을 말하게 하며 소요된 반응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심리학에서 널리 사용되어 온 실험적 · 임상적 도구임
② 증상분석(symptom analysis)환자가 경험하고 있는 증상들에 초점을 두면서 환자가 증상에 대해 자유연상을 하게끔 하여 그러한 내용을 해석하는 것*프로이트의 정화법(cathartic method)와 유사함
③ 꿈분석(dream analysis)– ‘무의식에 이르는 왕도’① 미래 예견적(prospective), ② 보상적(compensatory)
④ 사례사(case history)– 환자의 심리적 장애의 발달사를 추적하기 위해 주로 사용됨
– 생애사를 재구성하도록 요구하며, 이를 ‘생애사의 재구성’이라고 일컬음
⑤ 상징의 사용내담자의 사고, 감정, 행동을 유발하는 충동적 힘의 역동성과 패턴을 상징적으로 생각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함
⑥ 그림치료(painting therapy)환자의 무의식적 감정이나 사고를 스스로 표현하도록 장려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임
⑦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브릭스는 자신의 성격에 대한 관점이 융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알고난 후, 융의 심리적 유형에 이론적 기초를 두고 딸인 마이어스와 함께 성격에 대한 연구 및 응용 목적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기보고식 성격유형 검사를 개발함

참고문헌
  • 김춘경, 이수연 외 3명(2018). 상담의 이론과 실제 2판. 서울: 학지사.
  • 유광남, 최금락, 정재훈, 이시혁(2019). 우리 모두는 정신병자다. 서울: 스타북스.
  • 칼 구스타프 융(2020). 칼 융 레드북(Red Book). 서울: 도서출판 부글북스.

답글 남기기

글쓴이

wnv5dwae501e@sg2plzcpnl509221.prod.sin2.secureserver.net

관련 게시물

자녀가 독립하고 부모에게 흔히 찾아오는, ‘빈둥지증후군’

인간의 보편적인 삶의 과정을 강조하는 생애주기(life-cycle)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을 살펴보면 학자마다 인간의 발달 시기와 대상에 대한 견해를 달리하고 있으나, 대부분 학자들은 중년기(middle...

모두 읽어보기

언어장애(Language Disorder)의 특징, 진단기준, 원인과 치료

의사소통장애(Communication Disorder)는 정상적인 지능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의사소통에 사용되는 말(speech)이나 언어(language)의 사용에 결함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의사소통 장애에는 네 가지 하위유형 ① 언어장애 ②...

모두 읽어보기

카페인-관련 장애의 하위장애, 핵심 증상, 원인과 치료

카페인(caffeine)은 많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흔히 섭취하고 있는 물질이다. 그 정도가 지나치면 카페인-관련 장애가 생기게 된다. 내가 알고있는 카페인은 홍차, 초콜릿과 커피뿐이었는데..이번 공부를...

모두 읽어보기

우울장애의 하위장애, 핵심 증상, 원인과 치료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s)란 무엇인가?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s)는 슬픔, 공허감, 짜증스러운 기분과 그에 수반되는 신체적·인지적 증상으로 인해 개인의 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부적응 증상을 의미한다. 우울장애는...

모두 읽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