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RI 연구팀 (돈 잭슨, 제이 헤일리, 줄스 위클랜드, 폴 바츨라위크 등)은 가족의 의사소통의 ‘내용’이 문제가 아닌 의사소통의 ‘과정’이 문제라고 보았다.

MRI 연구팀 멤버
이에 MRI 연구팀의 의사소통 연구에서 발견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사이버네틱스의 피드백 고리(feedback loop)이다.
피드백 고리 | 가족이 피드백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면서 서로의 행동을 통제하거나 확장하는 것 |
정적 피드백 | 현재 상태를 벗어나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는 피드백 |
부적 피드백 | 변화에 저항하여 기존의 상태로 가족을 돌아오게 하는 피드백 |
< 목차 >
1. 상담 목표
2. 주요개념
3. 상담과정
4. 상담 기법
1. 상담 목표
- 일차적 상담 목표: 가족 문제의 해결
- 구체적인 상담목표: 가족 안에서 일어나는 증상에 대한 가족들의 생각과 믿음의 틀을 재구조화 하는 것(reframing)
재구조화란? 가족들의 증상에 대해 과거에 이해하고, 해석하고 받아들이던 방식에서 벗어나 증상에 대해 새롭게 생각하고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
- 가족 내 항상성이 변화되고, 일차적 변화를 포함한 이차적 변화까지도 일어나야한다.
(일차적 변화: 증상 행동의 제거 / 이차적 변화: 증상 행동을 규제하는 가족체계의 변화)
< 예시 > 컴퓨터 게임을 밤늦게까지 즐기는 자녀에게 부모가 매로 야단 치는 경우 | |
일차적 변화 | 부모가 일방적으로 자녀에게 말로 야단 치는 것 |
이차적 변화 | – 가족이 함께 변화를 시도하는 것 – ‘혹시 늦게 컴퓨터 게임을 시작했니?- ‘컴퓨터 게임시간을 너무 적게 주었니?’ |
2. 주요개념
의사소통은 MRI 상호작용 모델의 핵심개념으로 오늘날까지 가족상담 분야의 토대가 되고 있는 개념이다. MRI가 밝혀낸 중요한 의사소통 원리는 다음과 같다.
1) 의사소통의 원리(Communication Theory)
(1) 모든 행동은 어느 수준에서 의사소통이다(예: 침묵)
의사소통 이론에서 출발한 전략주의 모델은 “모든 행동은 의사소통적이며, 사람은 행동하지 않을 수 없듯이 의사소통하지 않을 수 없다”는 상호작용 원리를 가진다. 모든 행동은 어느 수준에서 의사소통이며, 심지어 침묵을 지키며 아무 반응을 하지 않는 내담자도 침묵으로 의사소통을 하고 있는 것이다. 침묵은 화가 났고 감정에 대해 말하고 싶지 않다는 의미를 전달한다.
(2) 모든 의사소통은 내용과 지시의 측면을 갖는다(예: “엄마, 오빠가 날 때렸어요.”)
모든 의사소통이 내용(보고)와 지시(관계)의 두 가지 수준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의사소통 과정에서 ‘내용’은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수준이지만, ‘지시’는 관계에 대한 진술이다. 예를 들어 ‘엄마, 오빠가 날 때렸어요.’라는 딸의 말은 오빠의 폭력에 대한 정보만을 엄마에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엄마가 오빠를 제지하고 벌해 주기를 바라는 부탁이 들어 있다. 또한 이 말을 하는 딸이 깔깔거리며 말했는지, 울면서 말했는지에 따라 또 다른 지시적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3) 의사소통이 이뤄지는 관계는 대칭적이거나 보완적인 관계다.
의사소통의 또 다른 원리는 의사소통이 대칭적 또는 보완적 유형으로 일어난다는 것이다. 관계가 평등하다면 의사소통 유형은 대칭적으로, 행동교환의 맥락이 평등하지 않다면 보완적이 된다. 대칭적 관계는 경쟁적인 상호작용으로 서로의 감정적 반응을 증폭시켜 사소한 언쟁도 큰 싸움으로 번지게 할 수 있다.
<표 2-1> 대칭적 관계와 보완적 관계
대칭적 관계 | 경쟁적인 상호작용 (예: 남편 주장 – 아내 주장) |
보완적 관계 | 차이 극대화. 관계불평등 심화(예: 남편 주장 – 아내 복종논리적인 사람 – 정서적인 사람성욕이 지나친 – 성욕이 약한) |
(4) 마침표는 의사소통의 중요한 측면이다.
마침표는 상호작용의 흐름 속에서 무엇이 자극이고 무엇이 반응인가의 개념이다. 예컨대, 부부 의사소통에서 남편과 아내가 각각 자신의 반응이 상대방의 말 때문에 야기된 것이라고 인지할 경우 끝없는 논쟁 속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는 부부 중 누군가 틀렸기 때문이 아니라, 부부가 상호작용의 서로 다른 곳에서 마침표를 찍고 있기 때문이다.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지속되는 것은 대화 참여자가 각자 어디에 마침표를 찍었는지에 대해 대화하지 못하고 자기중심적인 마침표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쿠루미세상의 개인 발표자료 PPT 일부분
예를 들어,술을 마시고 매번 늦게 들어오는 남편에게 잔소리하는 아내가 있다. 남편은 아내의 잔소리 마침표를 찍게 되고, 아내는 술 마시고 늦게 들어오는 것에 마침표를 찍게 된다. (남편의 마침표: 아내의 잔소리 / 아내의 마침표: 술 마시고 늦게 귀가하는 것) 이에 남편은 짜증나서 술을 마시게 되고, 아내는 또 잔소리를 하게 되는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반복되게 된다.
(5) 상위의사소통은 의사소통의 의사소통이다.
상위의사소통은 가족관계의 성장을 돕는 긍정적인 의사소통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싸우는 방법은 너무 극단적인 것 같아.’라든지 ‘네가 화날 때 침묵하는 버릇은 나를 힘들게 해.’와 같은 의사소통이 상위 의사소통에 속한다. 이는 자신의 욕구를 정직하게 말하고 관계를 건설적으로 다룰 수 있다. 즉, 상위의사소통이란 벌어지는 문제상황에서 자신이 왜 화가 나는지 다시 한번 더 상황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인지하고 상대에게 그러한 점을 이야기 할 수 있다는 점이다.
2. 이중구속(Double bind)

쿠루미세상의 개인 발표자료 PPT 일부분
이중구속(double-bind)은 베이트슨 연구진이 조현병 환자 가족의 의사소통에 관한 프로젝트 수행결과를 1956년 학술지에 발표하면서 처음 소개된 개념이다. 초기에는 이중구속 상황이 자녀의 조현병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생각하게 되었으나. 오늘날에는 더 이상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많은 가족이 때때로 이중구속 의사소통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역기능적 상황이 지속되거나 심하지 않는 한 이중구속의 개념을 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이중구속은 권위나 권력이 있는 사람의 언어적 메시지와 비언어적 메시지가 상반되거나 모순될 때 상대방이 혼란과 갈등을 겪는 상태를 의미한다. 어느 가정이나 가끔 부모나 윗사람의 이중구속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고 특히 우리나라 문화에서는 그런 일이 흔하게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중구속 메시지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경우에는 자녀에게 조현병 같은 역기능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3. 상담과정
1단계 | 상담 과정에 대한 소개 |
2단계 | 문제에 대한 질문과 정의 |
3단계 | 문제를 유지하는 행동 평가 |
4단계 | 치료 목표의 설정 |
5단계 | 행동적 개입의 선택과 실행 |
4. 상담 기법
1) 역설적 개입(paradoxical intervention)
- 세 가지 개입: ① 순종 기반 개입 ② 반항 기반 개입 ③ 노출 기반 개입
순종 기반 개입 (compliance-based interveintion) | 상담자의 역설적 개입을 가족들이 잘 따르도록 하는 방법 예시: 늦잠을 자는 자녀에게 늘 야단을 치던 어머니에게 자녀가 늦잠을 잘 때 마다 칭찬을 하라고 상담자가 말하고, 그 후 자녀가 늦잠을 계쏙 자면 상담자는 어머니의 방법이 성공한 것이라고 어머니를 칭찬한다. |
반항 기반 개입 (dafiance-based intervention) | 상담자의 지시와는 반대되는 행동을 하도록 처방하는 것 예시: 늦잠을 자는 자녀에게 계속해서 늦잠 자라고 처방한다. → 상담자의 칭찬을 계속 듣게된 자녀는 자신의 주체성을 잃게 된다. → 상담자에 대한 반항심이 생겨 늦잠을 자지 않고 일찍 일어나게 된다. |
노출 기반 개입 (exposure-based intervention) | 증상 행동을 가족 모두에게 충분히 노출하여 가족들이 증상과 관련된 자신의 고정된 행동 방식을 발견하고 변화시키도록 하는 것 예시: 늦잠자는 자녀에게 계속해서 늦잠 자게 한 다음, 어머니의 관심과 사랑을 독차지하도록 처방하고 이를 지속시킨다. 자녀는 늦잠을 통해 어머니의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는 자신의 행동 방식을 통찰하고, 다른 방법으로 어머니의 관심과 사랑을 받도록 행동하게 된다는 것이다. |
2) 증상 처방(symptom perscription)
- 역설적 개입의 하나로 내담자에게 증상 행동을 자발적으로 계속하도록 격려하거나, 증상을 과제로 주는 기법이다.
- 넓은 의미에서의 증상처방: 역설적 개입 속 세가지 개입이 모두 포함됨
상황: 부부싸움을 자주하는 부부 과제: 매일 한 시간씩 격렬하게 싸우기 결과: 상담자의 지시대로 부부가 매일 규칙적으로 부부싸움을 한다면 내담자 부부는 부부싸움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담자의 지시를 어기면 부부싸움이라는 문제 행동을 포기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