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1. 실험상황
2. 고전적 조건화의 원리
3. 자극과 반응
4. 그 외 주요개념
5. 학습장면에서의 조건화
6. 학교에 대한 긍정적 반응을 조건화 하는 반응
1. 실험상황
강아지의 타액분비를 조건화 시키기.

[ 세 가지 필요한 요소 ]
무조건 자극 (US) | 유기체로부터 자연적이고 자동적인 반응 인출 |
무조건 반응 (UR) | 무조건 자극에 의해 인출되는 자연적이며 자동적인 반응 |
조건 자극 (CS) | 중성자극(neutral stimulus: NS), 유기체로부터 자연적이고 자동적인 반응을 인출하지 않음 |

[ 실험 상황 ] – 파블로프는 강아지가 음식을 먹는 동안이나 음식을 먹기 전에 타액을 분비하며, 또한 음식을 보거나 음식을 주는 실험자의 발자국 소리에 대해서도 타액 분비하는 것을 관찰 – 음식을 주기 직전에 타액분비와 관계없는 자극인 종소리를 들려주는 것을 반복했더니 음식 없이 종소리만 제시해도 타액분비 |
2. 고전적 조건화의 원리
근접성(contiguity) | – 시간적인 동시성으로 동시조건 반응(simultaneous conditioned response) – 2개 이상의 감각(종소리, 음식)이 동시에 발생하여 자극 간에 근접성이 있을 때 두 자극 간의 연합이 잘 이루어짐 – 언어학습의 경우 아동에게 강아지, 소, 말의 그림과 글씨를 동시에 보여 주면서 글씨를 읽어 주면 문자만 제시해도 ‘강아지’, ‘소’ 라고 읽을 수 있음 |
강도(intensity) | – 무조건 자극에 대한 무조건 반응이 조건 자극에 대한 반응보다 완전하게 클 때 적용 – 음식에 대한 타액분비 반응이 종소리에 대해 강아지가 놀라는 반응보다 훨씬 강력해야 조건화 일어남 |
일관성(consistency) | – 조건화 과정에서 무조건 자극과 조건 자극이 완전하게 결합할 때까지 무조건 자극과 함께 제시되는 조건되는 조건 자극이 동일한 자극이어야 함(조건화 과정에서 종소리가 다른 소리 자극으로 바뀌어서는 조건화가 형성되지 못함) |
3. 자극과 반응 ★★★
무조건 자극 (unconditioned stimulus: US) | – 자동적으로 생리적 반응이나 정서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 ex. 더운 날씨, 레몬 |
무조건 반응 (unconditioned response: UR) | – 학습되지 않고 생물학적으로 프로그램화된 자동적인 반응 ex. 레몬 먹으면 침 질질 흘리는 것, 뜨거운거 먹으면 땀나는 것 |
조건 자극 (conditioned stimulus: CS) | – 무조건 반응과 무관한 중성 자극(종소리)이 조건화 이후에 정서, 생리 반응을 일으킨 자극 ex. 엄마가 고함 질러서 놀래는 것 → 엄마만 봐도 놀램향수 뿌리는 남자친구 만난 뒤, 향수만 맡아도 기분이 좋아지는 것 |
조건 반응 (conditioned response: CR) | – 무조건 반응과 중성 자극을 연합하는 조건화 이후에 조건 자극에 의해 발생한 반응 |
중성 자극 (neutral stimulus: NS) | – 조건이 형성되기 전에 무조건 반응과 전혀 관계없는 자극, 종소리와 음식의 반복적 연합이 있기 전에는 타액분비 못함 |
* 징크스(Jinx): 정형적인 조건적 조건 현상
* 징크스란?안 좋은 일을 피하기 위해행동을 조심하는 것을 일컫는다(ex. 미역국만 먹으면 시험에 떨어짐. 그래서 안 먹음).
4. 그 외 주요 개념 ★
고전적 조건화의 조건화 과정에서 다루는 중요한 개념은 일반화, 변별, 소거, 강화, 자발적 회복이 있다.
일반화 (generalization) | 조건 자극과 유사한 자극에 대해 조건 반응을 보이는 경향성, 일종의 전이 현상 |
변별 (discrimination) | 조건 자극과 유사하지만 동일하지 않은 자극에 대해서 차별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 |
소거 (extincion) | 학습된 반응이 점차 소멸되는 것 |
강화(reinforcement) | 무조건 자극과 조건 자극의 반복적인 연합, 무조건 자극이 조건 반응을 강화하는 강화물 |
자발적 회복 (spontaneous recovery) | 조건 자극에 대해 조건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소멸 상태에서 조건 자극을 제시하면 일시적으로 조건 반응이 다시 나타남 |
5. 학습장면에서의 조건화
학습자의 학교에 대한 정서 반응의 조건화 ▼ 교사는 학습 상황에 대한 학습자의 정서와 태도가 긍정적으로 조건화될 수 있도록 학습활동을 흥미롭게 다루어야 함 |
6. 학교에 대한 긍정적 반응을 조건화 하는 방법
① 학습활동을 가능한 한 즐겁고 흥미로운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과 연합
② 불안을 일으키는 상황을 불쾌하지 않고 편안하게 직면하도록 도와야 함
(수업장면에서 긴장이나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을 줄임 → 조건 자극과 연합한 무조건 자극을 다른 무조건 자극으로 연합하여 재조건화 하는 역조건화 사용)
③ 상황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알게 하여 다양한 상황에 대해 변별된 반응과 일반화가 일어나도록 해야 함
ex. 지각, 결석, 산만함, 졸음 등에 대한 교사의 지적과 그 학생에 대한 교사의 감정이 서로 다른 것임을 알도록 해야 함